Says/일반·과학상식 161

설화(說話)의 구분

신화(神話) 성스러운 이야기이다. 천지창조, 씨족의 탄생 등이 그 예이다. 성서(聖書)나 불경에서 차용 또는 인용이 가능하다. 전설(傳說) 신화에서 신성(神性)이 사라지면 전설이 된다. 전설에는 역사성(歷史性)이 있고 증거물(기념물)이 있으며 지명이 구체적이다. 계룡산 신원사의 고왕암 전설은 역사성이 있고, 청주 무너미 고개 전설은 증거물이 있다. 즉 지역이야기를 쓸 때 전설을 데려온다. 민담(民譚) 전설에서 역사성이 사라지면 민담이 된다. 구체적 지명은 있으나 역사성이 없다. 진실성은 있지만, 교훈적이고 가르침이 있으며 추상적인 이야기이다. 춘향전, 떡장수 아주머니와 호랑이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등이 있다.

외국 중산층 기준

[프랑스] 외국어를 하나정도 할 수 있을 것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을 것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을 것 남들과 다른 요리를 만들 수 있을 것 공분에 의연하게 대처할 것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 [영국] 페어플레이를 할 것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 할 것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불의와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미국] 자신의 주장을 떳떳하게 할 것 사회적인 약자를 도울 것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수 있을 것 정기 구독하는 비평지가 있을 것 기타 참고사항 가족 중 1인 이상 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가족 중 1인 이상 자원하여 군 복무를 마쳤다. 가족 중 이혼자가 없다.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은행잔고가 50만 달러 이상 있다. 그러나 [한국의 중..

'사'字로 끝나는 직업

'사' 字로 끝나는 직업들을 한자(漢字)로 썼을 경우 일 사(事), 스승 사(師), 선비 사(士), 하여금 사(使)로 분류가 된다. 판사(判事), 검사(檢事), 변호사(辯護士), 의사(醫師), 박사(博士), 대사(大使)등으로 '사'라는 글자가 각양각색(各樣各色)의 직업에 사용된다. 이를 정리하면, - 일 사(事) : 판사(判事), 검사(檢事), 도지사(道知事), 주사(主事), 이사(理事), 감사(監事) 등이 있다. 변호사만을 제외하고 죄를 다루거나 공공 영역에는 두루 일 사(事)를 쓴다. 외교관인 대사(大使) 밑에 영사(領事)도 사(事)를 사용한다. 사(事)에는 '다스리다.' 라는 뜻이 있다. - 선비 사(士) : 변호사(辯護士), 법무사(法務士), 변리사(辨理士), 감정평가사(鑑定評價士), 회계사(會計..

우리 속담 1000가지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가난한 집 신주 굶듯 한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도 크다 가는 말에 채찍질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가는 세월 오는 백발 가는 손님은 뒤꼭지가 예쁘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가랑잎으로 눈 가리고 아웅한다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가마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 한다 가마 타고 시집 가기는 다 틀렸다 가마 타고 시집가기는 코집이 앵글어졌다 가뭄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가을 볕에는 딸을 쬐고 봄 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 가을비는 장인의 나룻 밑에서도 피한다 가을에는 부지깽이도 덤벙인다 가을철에는 부지깽이도 덤빈단다 가장 현명한 사람..

습관적 추측 표현 '~인/일 것 같다' 의 쓰임

① 미래의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늘을 보니 곧 비가 올 것 같다' ‘왠지 고기가 잘 잡힐 것 같다’와 같이 쓰입니다. 과거사실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 감정이나 생각에 대해서는 쓰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제 우루와이와의 월드컵 경기가 매우 재미있었던 것 같다.'라고 써서는 안 되고, '어제 우루과이와의 월드컵 경기가 매우 재미있었다.'라고 써야 합니다. 즉, '~인/일 것 같다'는 표현은 확실히 알지 못하는 어떤 것에 대한 추측이나 추정, 짐작을 나타낼 때 쓰이며, 확실한 사실이나 주관적 감정을 나타내는 말에 쓰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② 둘을 비교하여 비슷한 점이 많음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식당에 손님이 많은 것을 보니 잔칫집인 같다.' ③ 누구나 어떤 느낌이 든다는 ..

Korean food porn의 뜻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을 다녔다는 이준석이 한 말이 놀랍습니다. "외국에서는 한국식먹방을 Korean food porn으로 한다"면서 "그러면 먹방유튜버들이 포르노 배우냐?" 라고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미국에서 공부했으니까 영어를 좀 하는 줄 알았더니 이번에 크게 실망했습니다. Korean food porn에서 porn은 포르노라는 뜻이 아니라, ~狂(광)의 뜻입니다. 우리말에서 독서狂, 야구狂, 등등에 붙여 쓰이는 것 처럼 말입니다. 요즘은 ~~매니아(mania)라고도 하죠. 즉, Korean food porn에서 porn은 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Korean food porn을 번역하면 로 해석됩니다. 줄여서 한국음식먹방이 되는 것이죠. 이준석은 어떻게 Korean food porn을 한국음식 ..

할로윈데이(Halloween day)축제가 미국에만 있는 이유

할로윈데이(Halloween day) 축제는 기원전 500년 지금의 영국에 있는 아일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 지역에 거주하던 켈트족(Celtic)이 개최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해마다 그 축제가 열리고 있지만 영국을 포함한 유럽에서는 할로윈데이 축제가 거의 없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일부 켈트족에 의해 시작되었던 축제였지만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축제는 아니었다. 오히려 2000여년 동안 거의 사라진 것이었다. 그 후 컬럼버스에 의해 신대륙(New World)이 발견되고 1620년 101명의 초기 청교도 개척자(The Philgrims)들이 영국국교의 박해를 피해 미국에 정착했을 때 청교도들은 원주민 인디언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특히 원주민들은 청교도 이민자들에게 호박..

Memento mori와 Amor fati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와 아모르 파티(Amor fati), '죽음을 기억하라'와 '운명을 사랑하라'는 죽음과 삶이라는 상반된 의미의 조합이지만 결국 같은 방향을 바라봅니다. 내가 언젠가 죽을 것이니 살아 있는 지금 이 순간을 소중히 하라는 것이고 그러니 지금 네가 처한 너의 운명을 사랑하라는 것이죠. 저는 이런 태도가 자존 같습니다. 어떤 위치에 있건, 어떤 운명이건 스스로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 사실 많은 사람들이 자존을 말합니다. 그런데 진짜 자존을 지키며 사는 사람들은 드뭅니다. 도대체 이 자존이라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울까요? ~ 박웅현 / 여덟 단어 ~

한국전쟁에서 중공군 선봉대였던 조선족

한국전쟁의 영웅 중공군 선봉대 조선족 숨어우는바람소리(2021. 6. 3) ¶글쓴이 : 윤옥 -6.25 당시 북한군 맨 앞장에 선 군인들은 중국에서 국민당과 싸웠던 경험있는 조선족 병사들 -대한민국 국민들이 허리띠 졸라매고 번영 부강의 기초 닦자 조선족들은 기여도 없이 무임승차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진실존중, 법치 등을 버리고 중국과 비슷한 나라에서 살기를 바라나 필자는 스스로를 ‘자유를 찾아 대한민국에 찾아온 조선족’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요 며칠 사이에 조선족들이 한국의 정치에 뛰어든다는 뉴스, 한국에 깊이 개입하고 있는 중국의 상황에 대해 양심 고백을 한 조선족의 글, 청와대 게시판에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투표에 조선족들이 동원된다는 비난 글들이 인터넷에 떠돌고 있어서 마음이 편치 않..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요약)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 능력이 없어 스스로의 오류를 알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 능력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의 오류를 알지 못하는 현상으로, 심리학 이론의 인지편향(認知偏向) 중 하나이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코넬 대학교 사회 심리학 교수인 데이비드 더닝과 대학원생 저스틴 크루거(Justin Kruger)가 코넬 대학교 학부생들을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이 이론에 따르면 능력이 없는 사람은 자신의 실력을 실제보다 높게 평가하는 반면 능력이 있는 사람은 오히려 자신의 실력을 과소평가한다. 또 능력이 없는 사람은 타인의 능력을 알아보지 못하며,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발생한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