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전기적 비평이란 역사주의 비평과 전기적 비평의 합성어이다. 어떤 문학작품이든 작품이 발표된 순간부터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취급되기 마련이다. 하나의 작품은 작가가 창조한 작품이고, 역사적 일회성을 지니는 사건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한 작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에 대한 연구와 동시대의 다른 작가와의 관련성 여부, 작품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연구 및 역사적 배경, 작품 텍스트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역사·전기적 비평이 방법론으로 정립된 것은 생트뵈브와 텐에게서 비롯되었다. 생트뵈브는 "나는 개개의 작품을 즐길수도 있지만 그사람 자신을 알지 못하고 작품만 단독적으로 판단하기는 곤란하다. 나는 서슴없이 그 나무에 그 열매라고 말하고 싶다. 그런 까닭에 문학연구는 자연스럽게 인간 자체, 윤리연구로 옮겨진다."라고 하였다. 텐은 문학결정의 요인설을 제기한 비평가이다. 그는 인종(개인의 선천적, 유전적 기질) ·환경(후천적 성향및 사회적 환경)·시대(인종과 환경이 다음작품을 생산하는데 기여하는 것)의 세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레브스타인(Grebstein)은 현재의 역사·전기적 비평을 정립하였던 역사주의 비평가이다. 그는 역사·전기적 비평의 여섯가지 주요요소를 열거하였다. ①원전(Text) ②언어(Language) ③전기(Biography) ④명성과 영향(Reputation & Influence) ⑤문화(Culture) ⑥문학적 관습(Literary convention)
①원전(Text)의 확정
목판본이나 필사본의 경우 어느것이 진본이나 결정본에 가까운가를 판정해야 한다. 춘향전에는 100여종의 異本이 있다.
②언어(Language)의 규명
작품이 창조될 당시의 특수한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되었을 작품의 언어를 의식하고 비평해야 한다. 즉 고어는 현대어로, 방언은 표준어로 재생하고 신조어를 규명한다. 언어의 교정을 신경써야 한다. 즉, 오탈자와 같은 중대한 결함을 규명해야한다.
③전기적 생애(Biography)에 대한 조사연구
역사·전기적 비평의 가장 중심적 영역이다. 작가에 대한 모든 傳奇的 정보를 샅샅이 뒤지게 된다. 즉, ㉠작가의 정신적 자질, 물질적 조건(재산정도) ㉡교육정도 ㉢교우관계 ㉣가족상황 및 친척관계 ㉤직업 및 정치적 활동여부 ㉥애정관계및 여성편력 ㉦습관·취미 및 건강상태 등 작품해명에 도움이 되는 모든 전기적 사실을 채집한다.
④명성과 영향(Reputation & Influence) 분석
한 작가의 작품이 독자계층이나 다른 동료 후배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관계를 파악한다.
⑤문화적 토대연구(Culture)
문학작품은 당대문화의 시대정신과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같은 문학적 바탕아래 창조된 문학작품에 대한 비평가의 해석차이는 그다지 편차가 클 수가 없다.
⑥문학적 관습(Literary convention) 분석
문학작품이 어떤 전통을 형성하는가, 나름대로 문학적 관례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역사·전기적 비평은 1920년대 이후 형식주의 비평가들에 의해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그 이유는
첫째, 수단과 목적의 혼동을 가져올 수도 있고, 문학작품에 관해 너무 많은 지식을 쌓다보면 작품자체에 소홀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너무 작품의 과거성에만 집착하여 작품의 현재성에 소홀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비평에도 불구하고 역사·전기적 비평은 작품이해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기할수 있고, 작품에 대한 통시적 안목을 넓혀주며, 작품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고양시켜 준다는 장점도 있다.
글쓴이/ 블로그 주인
'KNOU(Chinese Language) >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밍햄의 현대문화연구소의 연구경향 (0) | 2016.12.05 |
---|---|
호모 루덴스(Homo Ludens) (0) | 2016.12.03 |
문학의이해방송강의요약 (0) | 2016.11.16 |
문학의 이해 학보특강(2014년, 합본) (0) | 2016.11.15 |
문학의이해교재요약 (0) | 2016.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