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Gathering/풍산홍씨연농회蓮農會

傳統 祭禮 및 茶禮

Peter Hong 2013. 8. 1. 22:01

傳統 祭禮 茶禮 

 

4전통제례및차례.hwp


 

1. 忌祭

조상이 돌아가신 기일에 지내는 제사

 

2. 茶禮

, 추석 제사는 차례

 

3. 時祭

철마다 지내는 제사

 

4. 墓祭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음력 10월 좋은날을 택하고, 추석차례와 묘제는 우리나라 의 효시인 가례 집람 기준으로는 축문 생략)

 

5. 祠堂祭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

 

6. 祭祀(祖上 祭禮)에 올리지 않는 음식

소주 : 고려를 침략한 원나라 술(오랑캐 술), 양주도 쓰지 않음

토마토 : 일본에서 온 과일, 바나나, 자몽 등 외국 과일

복숭아 : 귀신을 쫒아 내는 과일

 

7. 제사의 목적(禮記)

() : 祈福(복을 기원)

() : 보답, 報本(복을 받고 보답하는 것)

피화(避禍) : 화를 피하는 것

8. 제사음식의 차림은 2가지로 구분 : 생식, 익은 음식

국가의 큰 제사, 성인, 영웅호걸 및 불천위 제사는 주로 생식이다.

12(, 대추, 개암, 마름, 호도, 녹포, 대구포, 소금, 흰떡, 검은 떡, 기주떡, 인절미)

12(부추김치, 죽순김치, 무김치, 미나리김치, 사슴고기젓, 물고기젓, 토끼 고기젓, 쇠고기장조림, 돼지겨드랑이고기, 천엽, 경단, 부꾸미)

, 기장, 수수, , 기타 소, 돼지, 양의 생고기

일반인의 제사는 주로 익은 음식

朱子家禮設餐圖에는 아버지, 어머니의 제례상은 각각 따로 차리도록 되어 있음

 

9. 제례 음식에 담긴 의미

: 본편은 높이 괴고 그 위에 웃기를 얹음. 웃기떡은 벼슬만큼 10여 가지가 넘게 올림. 웃기떡에는 화전, 흰 송편, 쑥 송편, 부꾸미 경단, 부편, 검은깨 경당, 주악 등이 있다.

송편 : 인신상접(人神相接)의미한다. (흰 송편은 조상을 의미하고, 쑥 송편은 자손을 의미)

탕병 : 설날 떡국은 새해 아침의 둥근 해를 의미. 길쭉하게 썰지 않고 동그랗게 썰어야 함

삼색나물 : 도라지, 무나물(뿌리나물)은 조상을 의미

                   고사리(줄기나물)는 부모를 의미

                   미나리, 배추나물, 시금치(잎나물)는 나를 상징

삼적 : 어적은 바다고기

            육적은 네발 달린 짐승(육지)

            소적은 야채적과 두부(자연이 내린 음식)

과일 : 대추는 꽃마다 열매를 맺으므로 자손번창을 의미하며,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 상징하기도 함

            밤은 조상과의 연결을 의미한다. 씨밤을 땅속에 심으면 가장 먼저 열린 씨 밤은 아름드리 나무가 되어도 썩지 않고 남음(조상을 모시는 위패, 신주를 밤나무로 만드는 이유임). 밤은 3정승을 의미하기도 함

            감은 씨를 심으면 고욤이 되나 감나무 가지에 접을 붙이면 훌륭한 감이 됨. 따라서 사람도 태어나 가르침을 받아야 올바른 인간이 된다는 뜻 의미

 

10. 제수(祭需)

모든 제수의 조리에는 마늘, 고춧가루, 파 등을 쓰지 않고, 간장, 소금만으로 조미하며, 깨끗하고 정결하게 침이 튀거나 머리카락 등이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제수는 자손이 먼저 먹어서는 안 됨. 제수는 지역, 가문마다 종류 등이 다소 차이가 있다.

초장(醋醬) : 초간장

() : 밥은 神位 수 만큼 수북이 담고, 덮개를 덮는다

, 메탕() : 국은 神位 수 만큼 담는다

숙수(熟水) : 숭늉은 냉수에 밥알을 조금 풀어서 신위수대로 담는다.

() : 국수를 삶아 건더기만 그릇에 담는다

() : 현란한 색깔을 피하고 흰 빛깔이 되게 한다.

           본편 : 시루떡(팥고물은 반드시 겉껍질을 벗김), 인절미, 송편 등

           웃기떡 : 찹쌀로 주로 빚고 본편위에 순서대로 얹는다

() 찌개 : 탕은 홀수로 담음(가문마다 차이가 있음 : 1, 3, 5)

           육탕(肉湯) : 소고기가 재료(무우)

           어탕(魚湯) : 생선(다시마)

           계탕(鷄湯) :

(), 간납(肝納) : 적과 합해서 홀수로 씀

           육전(肉煎) : 고기를 다지고 두부와 섞어서 계란을 씌워 부침

           어전(魚煎) : 생선을 납작하게 저며 계란을 씌워 부침

() 육회(肉膾) : 쇠고기의 살코기 장, 간 사용,

           어회(魚膾) : 생선살만 저미거나 썰어서 담음

() : 구이를 말함

           육적(肉炙) : 대나무 꼬치에 꿰거나, 토막 내어 굽기도 함

           어적(魚炙) : 생선

           계적(鷄炙) : 닭구이는 머리와 두발을 잘라낸 다음 익혀서 담음

() : 말린 생선(명태, 오징어 등)

숙채(熟菜) : 익힌 나물로 준비하며 3가지 채소를 익혀 무침하여 담는다

과실(果實) : 짝수로 담는다

          생과 : 사과, , , 대추, ,

            과자 : 곡식으로 만든 과자(한과, 유과)

제주(祭酒) : 술은 가급적 맑은 술(소주, 양주는 쓰지 않음)

 

11. 제수진설(祭需陳設)

고비각설(考妣各設) : 내외분은 상을 따로 차림

시접거중(匙楪居中)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잔서초동(盞西醋東) : 술잔은 서쪽에, 초첩은 동쪽에 놓는다

반서갱동(飯西羹東) : ()는 서쪽, 갱은 동쪽이다

자접거중(炙楪居中) : (구이)은 중앙에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머리를 동쪽을 향해), 고기는 서쪽

면서병동(麪西餠東) :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

서포동혜(西脯東醯) : 포는 서쪽, 생선 젓, 식혜는 동쪽

숙서생동(熟西生東) :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

천산양수(天産陽數) : 하늘에서 나는 것은 홀수

지산음수(地産陰數) : 땅에서 나는 것은 짝수

부접불기(附楪不記) : 주된 음식에 붙이는 조미료(간장, 초장 등)는 주된 음식에 붙여놓으면 됨(>적 옆에 간장을 진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의 과실은 동쪽, 흰 색의 과실은 서쪽

동조서율(東棗西栗)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예기에 근거)

동두서미(東頭西尾) :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으로

12. 背腹의 방향

鷄炙, 魚炙, 조기적, 생선포 등과 배가 있는 제수는 등은 바깥쪽(), 배는 안(아래)쪽이 되도록 담는다.


 

 


4전통제례및차례.hwp
0.02MB
4전통제례및차례.hwp
0.02MB
5합동제사축문(2013).hwp
0.02MB
4전통제례및차례.hwp
0.02MB
전통제례및차례[1].hwp
0.03MB
4전통제례및차례.hwp
0.03MB

'Social Gathering > 풍산홍씨연농회蓮農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文武官의 官職과 아내의 爵號  (0) 2013.08.02
基本祝文   (0) 2013.08.02
祭禮順序  (0) 2013.08.01
설날(2012년)  (0) 2012.01.23
노은 합동제사 및 연농원 비석 立石  (0) 201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