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禮順序
洪 起 成
1. 진설(陳設)
음식을 제상(祭床)에 차린다.
2. 신위(神位) 모시기
신주(神主) 대신 지방(紙榜)으로 대신한다.
3. 강신(降神)
제주(祭主)가 분향재배(焚香再拜)하고 모사(茅沙)에 술을 세 번 기울이고 재배(再拜)한다.
4. 참신(參神)
참사(參祀)자 전원(全員)이 재배한다. 신위에게 처음 뵙는 인사이다. 신주가 있을 때는 강신보다 참신을 먼저 한다.
5. 진찬(進饌)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主人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主婦가 면(麵), 편(餠), 반(飯)을 올린다.
(진설과 통합되어 이 절차는 없어진 예가 많다)
6. 초헌(初獻)
• 제주(祭主)가 무릎을 꿇고 앉아 술잔을 들고 집사자(執事者)가 술을 따르면 술잔을 올린다.
• 다시 술잔을 내려 주인이 왼손으로 잔대(盞臺)를 잡고 오른손으로 술잔을 들어 모사에 세 번 붓고(三祭) 술잔을 먼저 자리에 올린다. 삼제절차는 생략되기도 한다.
• 화로에 있는 육적(肉炙)을 올린다.
• 메 그릇 뚜껑을 연다(啓飯蓋). 젓가락을 적위에 놓기도 한다.
• 독축(讀祝)한다.
축관(祝官)이 주인 왼편에 꿇어앉으면 참사(參祀)자 전원이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인다(仆伏). 독축이 끝나면 모두 일어서고 제주(祭主)는 재배(再拜)한다.
• 잔을 내린다.
7. 아헌(亞獻)
• 술과 적(鷄炙)을 올리고 재배(再拜)한다.<禮書>에는 主婦가 하도록 되어 있으나 대개 次子가 한다.
• 잔을 내린다. 독축만 없고 초헌과 같다.
8. 종헌(終獻)
다음 사람이 술과 적(魚炙)을 올리고 재배(再拜)한다.
9. 유식(侑食) 첨작(添酌)
• 제주가 상에 있는 술잔에 술을 세 번 첨작(添酌)한다.
• 메에 숟가락을 꽂고(捕匙), 젓가락을 가지런히 한다(著正).
• 꽂은 숟가락은 우(東)를 向한다. 제주가 재배한다.
10. 합문(闔門)
참사자(參祀者)는 모두 밖으로 나오고 문을 닫는다. 병풍으로 가리기도 한다. 다른 곳에서 아홉 숟가락을 뜰 정도의 시간을 기다린다.
11. 계문(啓門)
• 축관(祝官)이 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연다.
• 참사자(參祀者) 모두가 자리에 선다.
• 갱을 물리고 그 자리에서 숭냉을 올린다(奉茶).
• 숭냉에 메를 세 번 떠 넣어 말고 숟가락을 숭늉그릇에 담아 놓는다.
• 잠시 후 숟가락을 들어서 시접에 놓고 메 그릇 뚜껑을 덮는다.
12. 사신(辭神)
참사자(參祀者) 모두 再拜한다. 作別 인사이다.
13. 신위 봉환(納神主)
신주를 사당으로 모신다. 紙榜과 祝을 불사른다.
14. 철상(撤床)과 음복(飮福)
제상(祭床)을 물리고 참사자(參祀者)들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Social Gathering > 풍산홍씨연농회蓮農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基本祝文 (0) | 2013.08.02 |
---|---|
傳統 祭禮 및 茶禮 (0) | 2013.08.01 |
설날(2012년) (0) | 2012.01.23 |
노은 합동제사 및 연농원 비석 立石 (0) | 2011.10.03 |
홍기락 할아버지 팔순 (0) | 201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