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ys/건강합시다

지금은 결정 장애 시대

Peter Hong 2017. 3. 28. 13:06


스스로 결정하라

 

우리는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적당히 순응하는 삶, 충동이나 감정조절의 어려움, 결정 장애 등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법, 의지력과 생각이 힘을 키우는 방법은 무엇일까? 내 안의 자기결정력을 키우는 진정한 방법을 알아본다.

 

미국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리더 그룹과 비리더 그룹 중 누가 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지를 비교, 조사했다. 당신은 누가 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것으로 생각하는가? 조사결과 주관적인 자기보고와 객관적인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 모두 권한이 적은 비리더 그룹 그룹에서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책임을 짊어진 리더 그룹의 스트레스가 더 클 석 같았지만 이들은 미래를 예측하고 상황을 통제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더 크기에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 스트레스가 심한 직업은 업무 부담이 큰 직업이아니라 업무에 대한 통제력이 없는 직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만으로 일반화할 수 는 벗지만 이로써 자기결정의 욕구가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스스로 선택하고 스스로 살아가고 싶어 하는 자율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기결정의 욕구가 잘 충족되면 만족스럽지만 자기결정의 욕구가 억압되거나 충족되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사실 옛날에는 딱히 스스로 결정할 게 많지 않았다. 어른들의 말씀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라 다들 비슷비슷한 삶을 살면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올수록 우리 앞에는 싫건 좋건 스스로 선택할 일들이 많아졌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개인화로 인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나 상황이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자기결정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스스로 작은 선택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남에게 의지하거나 결정을 미루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인터넷에는 스스로 결정하지 못해 대신 결정해 달라는 글들이 넘쳐난다.

이 회사를 계속 다녀야 할까, 이쯤해서 그만둬야 할까?”

이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좋을까, 아닐까?”

휴학하는 것이 좋을까, 어떨까?” 등 과 같이 자신의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일에 대해 주변인에게 묻는 경우가 많다. 자신에게 먼저 묻고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훈련이 안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기결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자신의 인생을 살지 못하고 타인의 인생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자기 삶의 결정력을 높일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삶에서 능동적인 선택을 넓혀가는 것이다. 우리는 잘 몰라서 결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잘 모르는 것이다.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면서 우리는 자신과 세상을 이해할 수 있고 점점 더 선택을 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스스로 결정하지 않으면 자신이 원하는 것이나 기준마저 잃어버리고 다른 사람에게 끌려 다닐 수밖에 없다. 일단 간단하게는 점심메뉴를 정하는 것과 같은 일상의 영역에서부터 자신에게 먼저 묻고 능동적으로 결정해 보자. 더 나아가 어느 한 쪽으로 명백한 결론이 나지 않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꾸 미루지 말고 기한을 정해 조금이라도 마음이 기우는 쪽으로 결정해 보자. 이때 꼭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당신이 결정을 하고 나면 반드시 미련과 아쉬움이 따를 것이다. 당신의 결정은 그러한 감정 때문에 결정 후에도 계속 흔들릴 수 있다. 하지만 좋은 결정이냐 아니냐는 것은 선택하는 순간에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선택 후 과정에 달려 있다는 것을 잊지 마라. , 미련에 휘둘려 계속 흔들릴게 아니라 일단 선택한 대로 행동하고 자신이 선택한 것을 즐기고 좋은 결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나서야 우리는 그 결정이 좋았는지 아닌지를 비로소 알 수 있는 것이다.

인생은 선택이다. 나의 선택이 모여 나의 인생이 된다. 스스로 결정하라!

 

/문요한(정신과 전문의)